복지뉴스

동해시, 청소년 정책 확 바뀐다… 시설 직영 전환·25억원 투자 미래인재육성

동사협 0 694 2023.05.24 09:08
▲ 동해 별누리천문대는 시민개방 프로그램, 가족과 함께하는 별별탐험, 시네마 별별탐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동해 별누리천문대는 시민개방 프로그램, 가족과 함께하는 별별탐험, 
시네마 별별탐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동해시에 청소년센터 등 청소년 이용시설이 대폭 확충되는데다 수련관·문화의집·상담복지센터가 청소년 관련 기관들이 시 직영체제로 전환되고, 미래인재육성보조금 25억원이 투자되는 등 청소년 정책이 확 바뀐다.

23일 동해시는 지난해 청소년 친화 도시 기반 조성을 위한 중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한데 이어 올해부터 특색있는 맞춤형 청소년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꿈과 희망을 펼쳐 나갈 공간인 청소년센터가 동해웰빙레포츠타운에 오는 6월 28일 개관한다. 115억원의 사업비로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3898㎡ 규모의 청소년센터 지하 1층에는 AR/VR가상체험시설·댄스음악연습실이, 1층에는 청소년카페·공연장·사무실이, 2·3층에는 실내체육관·강의실·동아리실 등이 갖춰진다.

▲ 현재 천곡동 829 구동해교육도서관 자리에 건립중인 동해꿈빛마루도서관 전경.
▲ 현재 천곡동 829 구동해교육도서관 자리에 건립중인 동해꿈빛마루도서관 전경.

또 천곡동 829 구동해교육도서관 자리에 98억원을 들여 지난 2021년 4월에 착공한 ‘동해꿈빛마루도서관’도 6월 개관을 앞두고 있다.

건축 연면적이 4124㎡로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건축된 도서관 지하 1층에는 주차장과 보존서고, 1층에는 유아-어린이자료실·동화구연체험실·VR실·오디오북실·동아리실·북카페, 2층에는 청소년-일반자료실·장애인자료실·향토자료실·사무실, 3층에는 마주침공간·멀티미디어실·마루공간·영상-음향스튜디오·다목적강당 등이 들어선다

이어 남부권 청소년의 편의를 위해 북삼동에 새 청소년문화의집을 올하반기 착공해 오는 2025년 6월 준공하고, 2024년~2025년에도 문화의 집 등 청소년시설 추가 확보를 위해 계획수립과 설계·착공을 잇따라 진행할 계획이다.

시는 그동안 민간에 위탁 운영하던 청소년수련관·향로청소년문화의집·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 청소년시설 3곳을 올해부터 직영체제로 전환해 전문인력 보강, 청소년 역량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확대 등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 현재 동해웰빙레포츠타운에 건립중인 동해시청소년센터 모습.
▲ 현재 동해웰빙레포츠타운에 건립중인 동해시청소년센터 모습.

영동 유일의 별누리천문대는 다채로운 프로그램 운영으로 대도시와의 교육문화 격차를 해소하고, 미래인재육성을 위한 교육경비보조금으로 24억7500만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6월부터 11월까지 3회에 걸쳐 ‘2023년 맞춤형 진로진학 프로그램’을 청소년센터에서 진행하는 등 청소년 역량증진 사업도 활발히 펼쳐진다.

시는 청소년 참여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최근 지역사회 청소년 참여활동 활성화 공모사업에 선정된데 이어, 청소년참여위원회를 운영해 워크숍과 정책 제안대회를 추진하고, 오는 7월 15일 열리는 제2회 청소년행복축제를 청소년들이 직접 기획·운영하도록 했다.

이와함께 동아리당 연 125만원의 활동비를 지원해 연말에 동아리 발표회를 개최하고, 청소년시설의 일요일 확대 운영,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내 스터디 카페를 조성할 계획이다.

▲ 2023년 동해시청소년참여위원회 발대식 모습.
▲ 2023년 동해시청소년참여위원회 발대식 모습.

이외에도 청소년 자립·보호 강화정책으로 학교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기 학업 복귀와 사회진입을 돕기 위해 월 5만원의 꿈드림 수당을 지급하고, 자녀 간 소통 강화 프로그램과 방과 후 아카데미 등 돌봄 사각지대에 놓인 청소년의 건전한 육성과 보호 서비스를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심규언 시장은 “청소년센터에 이어 남부권 청소년 문화의 집까지 개관되면 남·북 권역을 아우르는 균형있는 청소년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며 “청소년 창의적 역량 강화을 위한 내실있는 프로그램 운영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강원도민일보(http://www.kado.ne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