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청소년 사망자 수는 전년보다 2.3% 감소한 1909명이다. 사망 원인은 고의적 자해(자살)이 957명(50.1%)으로 1위였다. 극단 선택은 2011년부터 10년째 청소년 사망 원인 1위다.
최근 몇년 사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청소년이 급증하고 있지만 이유는 '미지의 영역'이다. 정부는 코로나19와 학업 스트레스 등을 원인으로 추정할 뿐이다.
청소년의 극단적 선택이 급증했다는 자료는 수 차례 발표됐다.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2022년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청소년 사망자 중 절반(50.1%)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자살은 2011년부터 청소년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비율이 50%를 넘긴 것은 처음이다.
일선 의료현장에서도 청소년 자살시도가 늘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중앙의료원과 경희대병원·서울의료원 연구팀이 23일 전국 400여개 응급의료기관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6~2019년 4년간 자살시도로 응급실을 찾은 14~19세 청소년이 2배 이상 증가했다. 2016년부터 매년 35.6%씩 늘어난 결과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청소년 자살이 왜 증가하는지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뉴시스 취재 결과 보건복지부, 교육부, 여성가족부 모두 "청소년 자살에 관해 따로 원인을 분석한 자료는 없다"고 답했다. 코로나19, 학업 스트레스 등을 이유로 추정했을 뿐이다.
복지부는 오는 7월 발간되는 2021년 심리부검 결과보고서에 원인 분석이 담길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전부터 이미 경고등이 켜졌던 만큼 대처가 늦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2011년부터 30% 초반대를 차지하던 극단선택 비율은 2016년 35.8%로 올라선 뒤 37.1%→41.0%→44.9%→50.1%으로 매년 증가했다.
중앙자살예방센터 백종우 교수는 "기본적으로 복지부와 교육부, 여가부로 담당 부처가 나뉘는데 맡은 분야의 데이터를 갖고 자살예방책을 만들어 모으는 방식"이라며 "특히 전체 청소년 사망자 중 절반 정도가 학교밖 청소년인데 분석 데이터가 전무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현재 자살예방 주무부처는 복지부지만 청소년 자살예방정책 수립은 교육부와 여가부로 나뉘어져 있다. 학교를 다니는 청소년은 교육부, 학교밖 청소년은 여가부 소관이다.
일선 공무원이 나서도 타 부처 자료를 취합해 분석에 나서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한 공무원은 "청소년 자살 및 자해에 관한 총괄적인 자료를 모아보려고 연구를 의뢰한 적이 있는데 타 부처 협조가 잘 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백 교수는 "최근 5~6년간 청소년 자살이 증가하면서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계속 있어왔다"며 "유관 부처들이 협력해 원인 분석에 나서야 하는데 쉽지 않은 만큼 전체를 총괄할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출처 : 복지타임즈 윤혜원 기자(http://www.bokji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