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50대 이상 중고령자들은 스스로 노인이라고 인식하는 시점을 법적 노인연령인 65살보다 4살 많은 ‘69살’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은 31일 전국 50살 이상 가구원이 있는 5331가구와 그에 속한 50대 가구원 및 그 배우자 8736명을 대상으로 2023년 조사한 10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초고령사회를 맞아 노인연령 상향 여부가 사회적 논쟁 이슈로 커지는 가운데 중고령자들은 스스로 노후가 시작되는 시기를 평균 69살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인복지법 등 다수 복지제도의 기준이 되는 노인연령인 65살보다 4살 많은 수치다. 2021년 9차 조사(69.4살)보다는 조금 낮아졌고, 2011년 조사(67.6살)와 견주면 1.4살 높아졌다.
노인이 된다고 판단하는 기준으로 조사 대상자 중 가장 많은 56.4%가 ‘기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시기’를 꼽았고, ‘근로 활동을 중단하는 시기’(23.8%), ‘공적연금이 지급되는 시기’(12.1%) 등이 뒤를 따랐다. 한신실 국민연금연구원 패널조사팀장은 “중고령자들이 60대는 아직 젊고, 70살을 전후로 해서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다만 복지 혜택을 줄인다고 할 경우 결과는 애매해질 수 있다. 60대에 노인이긴 싫지만 복지의 대상은 되고 싶은 이중적인 감정이 있다”고 말했다.
최근 2년 사이 일하는 중고령자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도 눈에 띈다. 이번 조사에서 중고령자의 고용률이 60.7%로 2021년(49.9%)보다 10.8포인트 증가했다. 복지 혜택이 빈약한 상황에서 코로나19 때 일자리를 잃은 중고령자들이 생계를 위해 다시 취업 전선에 뛰어든 것으로 보인다.
중고령자 가계소득 항목을 보면 근로소득이 52.1%로 가장 많고, 사업소득이 28.8%였다. 노령연금이나 기초연금, 국민기초생활보장 급여, 각종 수당 등 정부의 복지 수준을 가늠하는 공적이전소득은 11.6%에 그쳤다.
중고령자들은 건강하다고 전제했을 때 노후에 필요한 최소생활비를 136만1천원, 표준적인 생활을 하는 데 흡족할 만한 적정생활비는 192만1천원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21년보다 각각 9.5%, 8.4% 오른 수치다.
하지만 노후의 주요 소득 수단인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보건복지부 자료를 보면, 2023년 65살 이상 노인의 67%가 월 32만원의 기초연금을 받았다. 국민연금 월평균 수령액은 1인당 월 62만원으로 이들 공적연금만으로는 적정 생활은 물론 최소 생활도 어려운 처지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